알고리듬, 알고리즘 표기법 중 어떤 게 옳은지 알아보다가, 어원을 알고 나서 좀 혼란스러웠다. 그러나 외래어표기법에 분명한 원칙은 필요하다.
Contents
알고리듬 vs 알고리즘, 어떤 게 옳은 표기인가?
이 글을 언젠가는 써야겠다고 벼르고 있었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내 심정은 원래 이런 거였다:
“algorithm 을 알고리즘이라고 하다니 말이 되는가?! 버럭!!”
algorithm, algorism 을 영어 사전에서 찾아본 사람은 이 둘의 뜻이 전혀 다르다는 사실을 알 것이다. 개발자, 프로그래머들이 흔히 말하는 “알고리즘”은 algorithm 을 뜻하는 것이다. 그런데 왜 얼토당토않게 여기에 algorism 의 발음을 갖다 쓰냐 말이다!
어떤 표기법도 영어 단어의 발음과 같지는 않다. 그러나 원칙은 필요하다.
학교에서 “알고리듬”이라고 배웠다
내가 [알고리즘] 이라는 발음과 표기를 거북해하는 이유는, 어릴 때 학교에서 분명히 [알고리듬]이라고 배웠다. 조금 더 배워보니 영어의 algorithm 도 나온다. 이 단어의 th 발음은 mother 에 있을 때의 발음과 같잖아. 물론 한글과 한국어에 없는 발음이다. 그래도 이 발음을 한글로 적을 때는 ㄷ 으로 적기로 했잖아. 그러니 당연히 알고리듬이라고 적어야 한다는 게 내 머릿속에 들어있는 기본 생각이다.
나 때는 알고리듬이라고 배웠는데 요즘은 안 그런가 보다. 국립국어원 외래어 표기(1987)에서 “알고리즘”이 권장되면서 그 후에는 “알고리즘”이 대세가 된 것 같다.
일본어의 영향?
어떤 사람은 말하길, 일본식 발음/표기법에 영향 받아서 우리가 “알고리즘”을 채택하게 되었다고 한다.
일본어에서는 [아리고리즈무]
https://ja.dict.naver.com/#/entry/jako/041ad7f770fe4cae958617804ba53d9d
이 일어사전에서도 표제어에는
アルゴリズム [algorithm]
라고 돼 있는 걸 볼 수 있다. 일본인들은 algorithm 발음을 [아리고리즈무]라고 하고 있다. 일본 문자의 표기 한계로 저렇게 적고 저렇게 발음하는 것 같은데 혹시라도 저 발음을 흉내내서 “알고리즘” 이라고 한 거라면 씁쓸할 수밖에 없다.
발음이 편해서 “알고리즘”이 대세가 되지 않았을까?
발음이 더 편해서 “알고리즘”이 대세가 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건, 내 가설이다. 영어 등 외래어를 떠나서 순수하게 한글로서의 발음만을 생각할 때,
알고리듬 vs 알고리즘
중에서 어떤 게 더 발음하기 편한가? 사람에 따라서 다를 수도 있겠지만 아마 한국인이라면 다들 “알고리즘” 이 발음하기 더 편하다고 느낄 거라고 본다. 비슷한 예로는 구개음화 현상을 들 수 있다.
굳이 [구지]
같이 [가치]
“알고리즘”이 발음도 더 편한데 국립국어연구원에서 “알고리즘”을 권하고 학교에서도 그렇게 가르치니 대세가 되었을 것이다(학교에서 그렇게 가르친다는 건 내가 직접 확인한 건 아니고 강한 추측이다).
사실 난 영어 단어가 algorithm 이니까 “알고리듬” 표기를 더 지지한다. 그런데 조금 찾아보니 문제를 더 복잡하게 만드는 의외의 복병이 있었다. 어원이다.
어원: Al-Khwārizmī
이리저리 검색하다 보니까 위키피디아에서 Al-Khwārizmī 라는 페르시아 수학자의 이름이 나온다. algorithm, algorism 모두 저 수학자의 이름에서 나온 낱말이다. izm 이나 ism 이나 발음은 같지 않나. 반면에, ithm 은 별종이다. 이쯤 되면 이런 주장을 할 사람도 나올 수 있겠다:
“페르시아 수학자 이름을 봐라. algorism 이 algorithm 보다 더 근본이 있지 않느냐? 그러니 우리도 “알고리듬”보다는 “알고리즘”이라고 적는 게 당연하지 않겠느냐?”
그러나 뜻까지 생각하면 꼭 그렇지만은 않다. 그 옛날의 algorism 이라는 단어는 오늘날의 algorithm 이라는 단어가 갖고 있는 뜻을 가진 적이 없었다.
ChatGPT o3 답변
영어 algorithm, algorism 은 결국 한 뿌리에서 나온 건가?
ChatGPT said:
네, algorithm 과 algorism은 똑같이 9세기 페르시아 수학자 무함마드 이븐 무사 알후와리즈미(Al-Khwārizmī) 의 이름에서 나온 “한 뿌리” 단어입니다. 다만 두 단어가 영어 안에서 갈라진 시기·철자·의미가 조금 달라졌을 뿐입니다.
시대 | 형태 | 주된 뜻 | 변화 포인트 |
---|---|---|---|
12–15세기 | algorismus / algorism | ‘아라비아 숫자(10진법)로 계산하는 기술’ — 당시엔 산술(arithmetic)과 거의 동의어 | 알후와리즈미 이름을 라틴어로 옮긴 Algoritmi가 -ismus 어미(학설·주의)처럼 보이면서 굳어짐 Wikipedia |
17세기 | algorithm(e) | 철자가 -ism → -ithm / -ithme로 변형. ‘arithm-etic, logarithm’과 비슷하게 보이도록 철자 재해석이 일어남 | 프랑스어·영어에서 동시에 등장. 아직 뜻은 ‘연산법’ 수준 READING WORLD MAGAZINEFind an Expert |
19세기 후반–20세기 | algorithm(현행) | ‘어떤 문제를 풀기 위한 유한한 절차(연산 · 규칙 집합)’— 전산학·수학 용어로 확장 | 현대적 의미 정착, 전산학의 기본 개념이 됨 Earth Observatory |
흐름을 한 줄로 요약하면
al-Khwārizmī → Algoritmi (라틴어) → algorismus → algorism → algorithm 입니다.
- algorism은 오늘날에도 *“10진법 산술”(특히 역사·민속수학 맥락)*을 말할 때 쓰이는 고어·전문어입니다. Merriam-Webster
- algorithm은 17세기 철자 재해석 덕분에 다른 ‘-ythm’ 계열 단어와 닮은 꼴이 되었고, 19–20세기에 의미가 확장되어 지금의 “알고리즘” 개념을 담당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둘은 어원적으로 동일한 줄기에서 갈라졌으며, algorism이 선배, algorithm이 후배라고 보면 됩니다.
알고리듬
algorism이 선배, algorithm이 후배라고 해도 뜻은 다르다. 오늘 날 전산학에서 쓰이는 용어는 algorithm 이다.
algorithm 이라는 표기법은 서양에서 갑자기 근본도 없이 나타났다가, 그후 오늘날의 의미로 정착되면서 전산학의 기본 개념이 되었다. 그 후 대한민국에서 표기법 논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얼마 전 개발자 채팅방에서 누군가 올려준 링크를 따라가보니 나타난 글에서 “알고리듬”이라는 표기가 사용된 것을 보고 난 이런 생각을 했었다.
'뭘 좀 아는 사람이로군.'
우리 한국인들이 지금 “알고리즘”이라고 부르는 낱말은 algorithm 이라는 영어 낱말을 가리킨다. 엉뚱한 표기법을 계속 쓸 것인가?
지금 찾아보니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알고리듬”과 “알고리즘”이 모두 올라 있다. 뜻 풀이는 똑같다.
알고리듬: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56331&searchKeywordTo=3
알고리즘: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218510&searchKeywordTo=3
기존의 외래어 표기 관행에 비춰볼 때 나는 algorithm 을 “알고리듬”이라고 표기하는 게 맞다고 생각한다. “알고리즘” 발음이 더 편하다고 볼 수도 있지만 한국인한테 “알고리듬” 발음이 그렇게 어려운 것도 아니다. 비슷한 예로, 리듬(rhythm)도 있다. algorism 이라는 단어가 먼저 생겼다고 해도 오늘날 전산학에서 말하는 algorithm 과는 다른 뜻이었다. algorithm 의 철자를 알고도 “알고리즘”이라고 할 건가? algorithm 은 당연히 “알고리듬”이다.